대강 줄거리를 적으려했는데 쓰다보니 이리 길어졌다. 별 쓸데없는 짓을::
 '새'는 인간이 생겨나기 이전부터, 더 거슬러 올라가 신들이 생겨나기 이전부터 존재 했다. 장설득과 오희망은 답답한 세상을 뒤로하고 편안히 쉴 수 있는 곳을 찾아 떠난다. 오래 전 들었던 신에게 버림받아 새가 되어버린 인간의 이야기를 떠올리며 추장새를 찾아 니선다. 한참을 맴돌다 도도라는 새를 만나게 되고 새의 안내로 추장새를 만난다. 인간이었기에 인간을 이해하고 새가 된 후 하늘을 날며 세상의 모든것을 알 것 같은 추장새에게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곳을 물어보다 새들이 사는 나라에 머물고 싶어 한다. 인간을 경계하는 새들이기에 받아들이지 않는 추장새에게 하늘은 신, 땅은 인간. 땅과 하늘의 사이 구름에 새들의 나라를 건설하자는 달콤한 제안을 한다. 이 제안에 넘어간 추장새는 새들을 불러 한자리에 모으고 결국 모두 장설득의 말에 찬성하게 된다. 새의 날개를 받은 장설득과 오희망은 구름위에 '구름뻐꾹나라'라는 새들의 나라를 짓기시작한다. 장설득의 지휘아래 오희망이 성벽을 만들고 관리하러 간 사이  먹을것과 입을것을 구걸하는 배고픈 예술가, 예언을 빌미로 음식을 탐하는 점쟁이, 시간에따라 움직이는 공무원, 법을 파는 의원 그리고 자신의 권력을 내세워 이익을 얻으려는 경찰 등 총 다섯명의 인간이 찾아 온다. 장설득은 이 나라엔 법도,길도 그 어떤 것도 필요없다고 이야기하지만 점점 자신이 지휘하는 일에 도취되기 시작한다. 하늘과 땅 사이를 막고 있는 새들의 나라 때문에 인간이 바치는 제물을 받을 수 없게 된 신들은 배고픔에 굶주리게 되고 인간들은 새들을 숭배하며 새에게 제물을 바친다. 어느 날 불의 신이 몰래 내려와 장설득에게 두가지 조언을 해주고 장설득은 굶주린 신들을 농락하며 자신이 원하는 조건을 모두 얻게 된다. 성벽을 지키던 오희망은 권력과 탐욕에 빠진 장설득을 만나 다시 인간세상에 내려갈 것을 권하지만 이미 돌이킬 수 없게 되어버린 장설득은 제안을 거절하고 모든 권력을 지닌 하나님의 딸과 결혼식을 올린다. 멀찍이 한적한 곳에서 쉬던 오희망은 노랫소리가 끝남에 날개를 떼고 인간세상으로 돌아간다.

중극장 이상의 공연장에서 연극을 본 적이 없던 터라 공연장이 너무 큰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등장하는 배우의 수가 70명이나 된다고 한다. 별다른 무대장치 없이 큰 무대를 어떻게 채울까 했는데 각기 다른 화려한(?) 새의 분장을 한 많은 배우들이 등장하니 무대가 꽉 찼다. 앞 좌석에 카메라가 한대 있기에 공연 촬영 하나보다 싶었는데 공연중에 배우를 찍기도 하고 관객을 찍기도 하고 그 모습이 무대 벽면에서 영상으로 보여진다. 또 배우들은 자연스럽게 무대와 객석을 오가며 공연을 한다. 객석에서 등장하거나 무대에서 객석으로 내려오거나 관객들과 대화를 하기도 한다.
어느 부분을 콕 찝기는 어려운데 중간중간 어줍짢은 말장난들이 공연의 질을 떨어뜨리는 느낌이 들었다. 인간의 세계에 지쳐 새로운 유토피아를 찾아 떠나지만 유토피아는 없었다. 내가 꿈꾸던 그 곳도 어느새 그 이전에 살던 곳처럼 변해가고 있다. 고로 지금 사는 세상에서 더 행복하게 더 잘 살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자!라는 희망의 메세지를 담은 것 같은데 뒷심이 부족하지 않았나 싶다. 연극이지만 노래와 춤이 함께해 기존의 연극과는 색다른 느낌. 보면서 힘들었던 공연은 오랜만이었다. 난 잘 모르겠다. 그저 난해하고 또 난해했다!


어쩌다보니 처음 가본 국립극장.  
아, 근데 대체 국립극장 안에서 나는 냄새의 원인은 뭘까. 시큼하고 찌릿한 냄새가 나는데 공연 볼 때 이 냄새때문에 더 기분이 언짢아졌는지도 모르겠다.


openclose